콘텐츠로 건너뛰기

side project

Hashicorp Plugin System Design and Implementation

When we are using Hashicorp products, we can find that there’s always a plugin system that users can develop for their own and enables them to extend the functionality of the product. One of the famous products, Terraform, we can not only use well-known cloud provider modules such as AWS, GCP but our own customed… 더 보기 »Hashicorp Plugin System Design and Implementation

EventLoop 설계와 구현 – el Project (1)

들어가기에 앞서 이 글을 쓰기 시작하기 전에 여러가지를 살펴보고 있었다. 첫 번째는 Spring Webflux의 Reactive 시스템의 방식을 이해하기 위해서 Webflux가 사용하는 Netty를 살펴보는 것이었다.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Netty를 이해하면 좀 더 확실하게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두 번째는 NodeJS 엔진의 동작 방식에 대해서도 궁금증을 가지고 있었다. ‘Single thread 에서 동작하는 EventLoop가 있고 거기서(그 엔진에서) Javascript… 더 보기 »EventLoop 설계와 구현 – el Project (1)

vnet 프로젝트: intro

왜 이런 쓸데없는 것을 시작하였나? 2020년이 시작되었을 때 올해는 몇 가지 이런 것들은 꼭 해보자고 마음을 먹었던 일이 생각난다. 그 중의 하나가 ‘네트워크 레이어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 중 하나를 구현해보자’ 였던 것 같다. 엄청 소소해보이지만 이런 목표를 세운 이유 중 하나는 스스로 네트워크에 대한 기본 지식이 너무 빈약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전공 수업을 들으며 네트워크에 대한 지식을… 더 보기 »vnet 프로젝트: intro

HoneyBadgerBFT Protocol에 대해서

이 글은 BFT 기반 합의 알고리즘 중에 하나인 HoneyBadgerBFT에 대해서 어떤 특징을 가지고 어떤 식으로 동작하는지 설명하고자 한다. 과거에서부터 지속적인 오퍼레이션이 중요한 어플리케이션들은 BFT 계열의 프로토콜을 도입하여 fault-tolerant한 시스템을 만들고자 하였다. 분산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어떤 노드 혹은 컴포넌트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지 시스템 내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failure-detection과 시스템 내부에서 어떤 컴포넌트가 제대로 동작하지… 더 보기 »HoneyBadgerBFT Protocol에 대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