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끼리와 벼룩
인상 깊은 책을 읽었다. 이전에 여러 책이 그러했지만 이제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문구를 표시하고 다 읽은 뒤 정리해야겠다고 생각했다. 하다보면 더 효율적으로 정리하는 방법을 체득하지 않을까 기대한다. 포트폴리오 인생의 시작 나는 모든 진리가 3단계를 거친다는 철학자 아르투르 쇼펜하우의 말로 스스로를 위로했다. 그에 따르면 진리는 조롱을 먼저 받고 그 다음에 반대를 받다가 마지막으로 자명한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이… 더 보기 »코끼리와 벼룩
Hashicorp plugin system 설계 및 구현
Hashicorp 제품을 살펴보다보면 사용자가 커스텀한 plugin을 만들고 붙여서 확장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인 것을 느낄 수 있다. Terraform을 이용하여 우리는 잘 알려진 GCP와 관련된 인프라 리소스를 생성하고 편집할 수도 있지만 커스텀한 리소스를 정의하고 생성하여 관리할 수 있다. Vault에는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여러 Secret engine들이 있지만 필요하다면 우리가 커스텀한 secret engine을 만들어 그것을 Vault에 plugin 형식으로… 더 보기 »Hashicorp plugin system 설계 및 구현
getoutsidedoor
올해 1월에 쓴 글인데 다시 읽어보니 느낌이 새로웠다. 다시 나를 돌아보게 되었다. 대학 생활을 하면서 재밌었던 일들 중 하나를 꼽아보라면 많은 것들 중에 마음 맞는 사람과 모여서 글을 쓰고 그것을 책으로 내는 일을 꼽을 것이다. 처음에 이걸 왜 시작했는가에 대해서는 잘 생각나지 않는다. 어렴풋이 꽤 친한 누나가 같이 독립출판을 해보자고 말을 했고 나는 재미있어 보여… 더 보기 »getoutsidedoor
DevOps Culture [번역]
이 포스팅은 해당 글을 번역한 글입니다. 스스로 이해될 수 있게 충분히 의역을 하였습니다. DevOps 문화가 어떤 것이고 추구하는 방향이 어떤 것인지 알 수 있습니다.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은 요구사항 분석, 테스트 그리고 개발 사이의 사일로를 일부 해소했습니다. 하지만 배포, 운영 및 유지보수 작업은 이런 사일로를 해소하는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DevOps는 개발 프로세스와 배포,… 더 보기 »DevOps Culture [번역]
Self Interview
왜 ‘해치랩스’라는 회사에서 근무하고 있는가? (21.07) 산업기능요원 복무때문에 근무하고 있는 이유가 첫 번째이다. 그렇다면 산업기능요원 TO가 있는 다른 회사에서 오라고한다면 갈 것이냐라고 했을 때 답은 ‘아니요’인데 그 이유는, 두 번째는 해치랩스는 블록체인이라는 기술을 다루는 회사여서. 나는 기술을 중심으로 사람들이 겪는 어려운 문제를 해결해주는 것이 좋다. 이 때 사람들이라면 주로 개발자, 엔지니어들. 그렇다면 첫 번째와 두… 더 보기 »Self Interview
EventLoop 설계와 구현 – el Project (1)
들어가기에 앞서 이 글을 쓰기 시작하기 전에 여러가지를 살펴보고 있었다. 첫 번째는 Spring Webflux의 Reactive 시스템의 방식을 이해하기 위해서 Webflux가 사용하는 Netty를 살펴보는 것이었다.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Netty를 이해하면 좀 더 확실하게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두 번째는 NodeJS 엔진의 동작 방식에 대해서도 궁금증을 가지고 있었다. ‘Single thread 에서 동작하는 EventLoop가 있고 거기서(그 엔진에서) Javascript… 더 보기 »EventLoop 설계와 구현 – el Project (1)
HashiTalk 2021 – Terraform 도입과 CI/CD 파이프라인 구축 및 운영
HashiTalk 2021 발표를 했었다. KODA 서비스 인프라 구축할 당시 Terraform을 도입하고 파이프라인을 구축하면서 있었던 일들에 대해서 발표했다. 이렇게 공개적인 자리에서 발표했던게 꽤 오래전이라 준비하는데 꽤 힘들었다. 특히 회사일이랑 같이 준비하려니 좀 더 부담이 됐던 것 같다. 블로그 글이랑 발표 내용은 확실히 다르다는 것을 다시 한 번 더 느낄 수 있었다. 좀 더 간결하고 엄청 복잡하지… 더 보기 »HashiTalk 2021 – Terraform 도입과 CI/CD 파이프라인 구축 및 운영
GCP Hybrid 시스템 네트워크 구축 (내부통제 측면, ISMS 대비)
ISMS 준비를 하면서 네트워크 쪽으로 가장 사이즈가 컸던 작업 중 하나가 바로 내부망에서 필요한 GCP 서비스와 연결하는 부분이었다. 이번에는 ISMS를 준비하면서 특정 서비스의 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 중에 네트워크에 관한 전체적인 흐름을 설명한다. 네트워크도 사실 여러가지 부분이 있다고 생각하는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네트워크 이야기라기보다는 내부 통제, 내부적인 사용을 위해서 필요한 네트워크 설정과 관련된 이야기를 할… 더 보기 »GCP Hybrid 시스템 네트워크 구축 (내부통제 측면, ISMS 대비)